상단영역

본문영역

친환경 사업은 대형건설사의 전유물? 엄두도 못 내는 중소건설사

  • Editor. 박대연 기자
  • 입력 2024.03.22 14: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박대연 기자]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 등 건설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이 이에 대한 위기 돌파 해법으로 ‘친환경’ 사업을 꺼내 들며 신기술 개발과 자재 적용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소건설사들은 현장 관리도 힘들어 신사업 진출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은 수익성이 떨어지는 국내 주택 사업 대신 친환경 등 신사업 비중을 늘리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친환경 사업 확장에 한창이다. 반면 중소‧중견건설사들은 자금난 등으로  [사진=연합뉴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친환경 사업 확장에 한창인 대형건설사와 자금난에 허덕이며 회사 존폐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중견건설사 간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탄소 저감 콘크리트 방법론을 개발해 최근 대한상공회의소 탄소감축인증센터로부터 건설업계 최초로 공식 인증을 받았다. 탄소 저감 콘크리트 방법론은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원리를 비롯해 감축량을 산정하는 방식, 현장 적용 시 모니터링 절차 등 탄소 감축과 관련된 일련의 검증 절차를 규정한 것이다.

현대건설은 겨울철 급열 에너지와 양생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탄소발생량을 절반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콘크리트 조강 발현 기술을 만들어 대곡-소사 복선전철 공사와 힐스테이트 인덕원 베르텍스 등의 현장에 적용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최대 70%까지 저감시킨 초저탄소 콘크리트도 개발했다.

이외에도 롯데건설은 지난해 초 탄소 배출을 최대 90%까지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에 성공했고, 대우건설은 국내 건설사 중 처음으로 2022년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DL이앤씨는 공동주택 내구성 향상 페인트를 개발해 한국콘크리트학회의 기술 인증을 받았다.

내년부터는 제로에너지 건축물인증 의무화가 30가구 이상 주택에도 확대 적용되면서 어느 때보다 친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탄소중립 시대 녹색건축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과제’ 보고서를 보면 현재 제로에너지건축물 시장 규모는 15조~20조원(2022년 기준)으로 추정된다.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라 모든 건축물이 제로에너지건축물로 지어질 경우 시장 규모는 18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로 시멘트 보도블록 생산 과정. [사진=삼성물산 제공]
제로 시멘트 보도블록 생산 과정. [사진=삼성물산 제공]

높은 관심 속에 친환경 사업에 대형건설사들이 뛰어들고 있지만 중소‧중견건설사들은 진출 자체는 물론 정부의 ESG 기조도 따라가기 벅차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건산연이 환경분야 지표를 건설업체 규모별 수준 평가한 결과 중소건설업체는 대부분의 환경 분야 지표가 100점 만점에서 40~50점대에 머물러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 인증 제품은 50.1점,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은 45.5점 등으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PF 대출 리스크, 공사비 상승,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등 당장 눈앞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는데 어떻게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느냐”며 “전 세계적인 ESG 기조를 따라가기 위해 친환경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데 이는 자금력이 있는 대형건설사들만 가능한 일이고, 작은 건설사들은 현장 관리조차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어려워진 건설 경기 때문에 수주에도 어려움이 있다 보니 ESG 경영에 대해 관심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인센티브 도입이나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 대형건설사들의 기술 협력 및 교류가 없으면 친환경 사업 진출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형건설사들은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사업 확장에 나서는 것과 반대로 중소‧중견건설사들은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방의 중소‧중견건설사들이 무너지면 대형건설사도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자금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사업에 진출하고 있는 대형건설사와 자금난에 허덕이며 회사 존폐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중견건설사 간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기반 마련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